청태전이란?

우리 고유의 전통차로 삼국시대부터 근세까지 장흥, 남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유일한 세계적인 차로 오늘날 중국, 한국, 일본 등의 차문화 및 제다 발달사의 역사적 근간이 되고 있으며 육우(陸羽)의 『茶經』에 보이는 병차(餠茶)의 영향을 이어받은 유습으로 평가되고 있다.
청태전은 떡차의 일종으로 동전 모양과 비슷해서 전차 또는 돈차라고 불렀는데, 발효과정에서 파란색의 이끼가 낀 것처럼 변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하고 있다.
떡차란 녹차를 틀에 박아내서 만든 덩어리차(固形茶)를 말한다. 그 다양한 모양에 따라 청태전(靑苔錢), 전차(塼茶), 돈차(錢茶), 단차(團茶), 병차(餠茶)라 불렀다.
사업 추진 필요성
- 차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자극하여 침체된 농업의 활력화와 지역 발전의 계기 마련
- 장흥 차의 전통과 역사적 명성을 회복하여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상품개발 - 청태전
- 발효차 소비량 증가에 따른 장흥 청태전의 시장선점 - 명품차 육성
추진목표와 전략
- 장흥 청태전의 브랜드 가치 향상 및 명품화로『World Tea』육성
- 고품질 청태전 안정생산 기반확보 및 전문가 양성
- 지역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전통 차문화 활성화
사업추진 내용과 성과
- 전통차(청태전) 복원 및 생약초 연구개발 용역
- 전통차 복원, 생약초연구개발 용역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간 : ‘07. 6. 5 ~ ‘08. 6. 4
청태전 연구개발 용역 성과
-
상표등록 출원
-
청태전시제품
-
제조특허 심사중
청태전 명품화 추진
- 장흥 청태전의 고품질 상품화 연구
- 중앙 공모사업 선정 : 청태전 고품질 실용 상품화 연구
- 연구기간 : 2008년 ~ 2010(3개년)
-
전통 청태전 보관
-
한지이용 청태전 포장
-
나무상자를 이용한 청태전 박스
-
한지 이용 청태전 박스
청태전 제다법 표준화 연구
차문화 계승과 차 소비 다변화를 위한 붐(Boom)조성
고품질 청태전 생산 체험 및 홍보
-
다류 전문가 양성
-
차 제다 실습
-
다양한 청태전 제다
-
청태전 시음회
-
청태전 만들기 체험
-
청태전 기호도 조사
-
세계 차 홈데코전시회(광주⁄5월)
-
세계 차 홈데코전시회(광주⁄5월)
-
국제 차 문화대전(서울 코엑스)
-
세계차문화축제(대구)
-
정남진 장흥 물축제
전통차 및 다류 융합전문가 양성교육
청태전 각종 홍보실적
-
시즈오카 신문에 보도된 청태전
-
심사위원들의 심사과정 및 청태전검사
-
심사위원들의 심사과정 및 청태전검사
-
신문보도
-
신문보도
-
2008. 세계녹차컨테스트 최고금상
-
청태전관련도서
-
리플렛제작활용
-
리플렛제작활용
장흥의 차문화
장흥은 선사시대부터 문물이 발달하여 서남해안을 끼고 해상항로를 통해 중국이나 일본과도 문물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 졌다. 고려시대에는 공예태후가 나자 장흥이라 이름하고 부(付)로 승격시켰으며 그 이후 장흥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장흥일대는 제반 자연적 입지조건이 다전 분포에 적합하여 양질의 차가 생산된다. 차 자생지로 가장 많은 자생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차분포와 재배의 적지로 일찍부터 차산업이 정착한 곳이다. 조선 초기의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 19개소의 다소 중 13개소가 장흥에 존재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도 원래 차의 주산지는 전남이며 장흥 차의 질이 으뜸이라 하였다. 보림사 내의 『보조선사창성탑비(보물 제158호)』에는 헌안왕이 즉위한 지 얼마되지 않아 왕실이 혼란할 때 보조에게 왕실에서 『차와 약을 예물로 보냈다』는 기록을 통해 보림사가 차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태전의 역사
茶를 설명하면서 빠뜨릴 수 없는 곳이 장흥의 보림사이다. 보림사는 구산선문의 종찰로 도의선사가 37년간 당나라에서 禪과 茶를 익혀 귀국하면서 가지고 온 차나무 종자를 보림사에 머무르면서 심어 엽전모양의 굳은차(固形茶)만드는 방법을 전했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청태전과 약탕기또한 다산(茶山), 완효윤우(玩虎尹佑), 초의(草衣) 등에 의해 떡차의 제다가 이루어진 곳으로 이는 천년 이상 우리 민족과 함께 하면서 전해졌음을 의미한다. 다시말해서 『청태전』은 장흥지역과 보림사에서 우리 차문화사에서 가장 기나긴 세월에 걸쳐 전승되어 역사적인 흔적이 뚜렷이 남아있는 우리 전통차이다. 장흥지역의 차에 대해 언급한 자료는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경세유표 등과 장흥 보림사의 전차(청태전)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이유원의 『가오고략과 임하필기』등이 있다.
고문헌을 통한 청태전의 약리효과
차에는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옛 선인들은 선약이라고 하였다. 양약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차의 약리적 효능이 있었기에 오랜 세월 인류의 사랑을 받아 오늘날까지 음용될 수 있었다. 차의 효능에 관한 기록은 다서, 의서, 약서, 경사자집 등 고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의학서적에 기록된 차의 약리적 기능
의약서적 | 약리기능 |
---|---|
본초강목 | 종기치료제, 두통, 거담, 해갈, 해열, 강심 등 |
신농본초경 | 눈을 밝게함, 해독작용 |
식론 | 두통예방 |
동군록 | 두통예방 |
본초십귀 | 졸음예방 |
중국의약사전 | 체중감소, 졸음예방 |
심시요함 | 잠귀가 밝아짐, 변비예방 |
본초강목습유 | 백내장예방 |
본초습유 | 풍습제거, 헛배부른것 치유, 상처나 염증예방 |
동의보감 | 지방제거, 눈이 밝아짐, 갈증해소 |
-
다연에서 고형차 분쇄와 찻가루 보관용 라합
-
다연에서 고형차 분쇄와 찻가루 보관용 라합
청태전의 기능성
청태전은 발효차이다.
청태전에는 폴리페놀성분인 카테킨이 5-6%함유되어 있어 성인병과 노화예방 효과
발효과정에서 페놀화합물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물질이 증가하는 경향
청태전은 오래될 수 록 귀해지는 茶 마실 수 록 편안해 지는 茶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마셔도 좋은 茶
청태전 마시는 요령
청태전 이렇게 우려마십시다.
- 화건 : 뭉긋한 불기운에 가볍게 구어서 오염된 습기나 잡내를 제거하여 차의 기운을 다시 살린다. (대젓가락이나 굽는 용기 사용)
- 팽다 : 불에 구운 청태전을 탕관에 넣어서 충분히 끓인다.(3분~5분정도/90~100℃)
- 음다 : 차가 알맞게 우러나면 찻잔에 고루 따라서 마신다.
- 감기 몸살 등에는 생강이나 오가피를 함께 넣어 끓여 마셔도 좋습니다